정부가 2025년 5월 8일 공식 발표를 통해 소상공인을 위한 ‘부담 경감 크레딧’ 지급 일정을 공개했습니다. 코로나 이후 회복되지 않은 내수 경기와 어려움을 겪는 자영업자들을 위한 이번 지원금은 1인당 50만 원 규모로, 약 311만 명에게 지급될 예정입니다.
하지만 단순한 현금이 아닌 공공요금, 사회보험료 등을 대신 낼 수 있는 ‘크레딧’ 형태이기 때문에 사용 방식에 대한 이해도 필요합니다. 언제, 누구에게, 어떻게 지급되는지 지금부터 쉽게 알려드릴게요!
✔️ 소상공인 50만 원 지원금, 언제 받을 수 있나요?
정부가 발표한 공문에 따르면 2025년 7월부터 순차적으로 지급이 시작됩니다. ‘7월 말까지 70% 이상 집행’이라는 표현이 있어 오해가 생길 수 있지만, 실제로는 7월부터 연말까지 순차 지급되는 구조입니다.
✔️ 누가 받을 수 있나요?
지원 대상은 연 매출 3억 원 이하의 소상공인입니다. 정부는 약 311만 명을 대상으로 1조 6천억 원의 예산을 배정했으며, 지원 방식은 공공요금 및 4대 보험 납부에 사용할 수 있는 ‘공공 크레딧’입니다.
✔️ 현금이 아니면 무슨 의미인가요?
이 지원금은 ‘현금’이 아니라 정부가 대신 공공요금 등을 납부해주는 방식입니다. 예를 들어, 건강보험료나 전기세 등을 낼 때 이 크레딧으로 차감되므로, 실질적으로 현금과 같은 효과를 가질 수 있습니다.
✅ 꼭 기억하세요
- 지급 시기: 2025년 7월부터 연말까지 순차 지급
- 대상자: 연 매출 3억 원 이하 소상공인 (약 311만 명)
- 지원 방식: 50만 원 상당의 공공요금 크레딧
- 주의 사항: 현금 지급이 아니므로 사용처 제한
Tags:
money